유효기간 지난 감기약 어떡하지..폐의약품 배출요령
최근 감기, 독감 등이 유행하면서 유효기간이 지났거나 복용하지 않고 남은 폐의약품 역시 증가하고 있습니다. 필자 역시 최근 감기에 걸려 약을 복용하고 난 후, 남은 폐의약품이 쌓여 있었다. 폐의약품은 따로 분리배출을 해야 하는데, 그 이유는 매립되거나 하수구로 버려질 경우, 항생물질 성분이 지하수·하천 등에 유입되어 환경오염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.
하지만 지난 9월 발표한 자원순환사회연대의 조사에 따르면 '분리배출을 알고 있다'고 응답한 비율 60.1%에 비해 '폐의약품 분리배출 경험이 있다'고 응답한 비율은 36%에 그쳤습니다. 폐의약품 분리배출을 시행하지 않은 이유로는 ‘귀찮고, 분리배출함이 없었다’가 1위를 차지했습니다.
우체통에 쏙! 버려주세요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uX82F/btsC2BimrVB/aCSmpMZKDNYuIaWu4wbBdK/img.png)
① 폐의약품 수거량 증가 32% 증가
월 평균 11.8톤(’22년 7~9월) → 월 평균 15.6톤(’23년)
② 우체통 수거 실적 증가
’23년 7월 212kg →’23년 8월 426kg →’23년 9월 433kg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2skml/btsC55iDiBI/etkWhILddrkWE1T1Y0TE20/img.png)
폐의약품 올바르게 배출해요!
가루약, 알약(조제약) | 알약(캡슐) | 물약, 시럽, 연고 등 |
포장 및 밀봉 상태 그대로 배출 |
포장된 알약 그대로 배출 |
용기 그대로 마개를 닫고 배출 |
우체통 배출 방법
폐의약품 회수봉투(주민센터 배부) 또는 일반봉투에 폐의약품 표시하여 밀봉 배출
※ 물약의 경우 우체통 배출 불가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wqcwF/btsC2ChdM6d/OWnmwBZQuKSJNLfawVDMV1/img.pn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msMnc/btsC4sSI9Nq/HzQODWy08KMSOA76nRlRY0/img.pn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ZpKgV/btsC7qzOtDr/TnhVfFXsl2WH7Ax404nvV1/img.png)
24시간 폐의약품 분리배출!
올바른 분리배출로 건강한 서울,
다 함께 만들어요!
출처 : 내 손안의 서울
🔺 폐의약품 분리배출의 필요성
플라스틱보다 분리배출을 철저히 해야 하는 품목, 바로 폐의약품입니다.
폐의약품이 ‘유해 폐기물’인 이유는, 그 화학구조가 매우 복잡한 데다 다양한 생리학적 활성(촉매의 반응 촉진 능력)을 띄는 물질이기 때문입니다. 싱크대, 변기, 쓰레기통에 무분별하게 버려진 폐의약품들은 그 복잡한 활성 능력을 그대로 유지한 채 우리의 물과 땅에 스며들어 괴이한 변화들을 만들어내고, 특히 해양 생태계에 치명적인 혼란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. 2016년 국립환경과학원이 지표수(주로 하천 및 호소)의 의약 물질 오염 여부 조사 결과를 보면, 항생제, 소염진통제, *항히스타민제, 당뇨 치료제 등 15종의 의약 성분이 검출됐습니다. 우리가 사용하는 물에 이미 폐의약품이 흘러들어가 있는 것입니다.
🔹 폐의약품 분리배출 안내
▲ 배출방법
➞ 각 시군별 동주민센터 및 구청 등에 설치되어 있는 폐의약품 전용수거함에 배출[상세위치 : 각 동주민센터 홈페이지에서 확인]
➞ 시군별 소재 우체통에 폐의약품 회수봉투(주민센터에서 배부) 또는 일반봉투에 폐의약품 표시를 하고 밀봉하여 배출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YLuAt/btsC6pH5XcZ/OfPK2lEc4sDMJik4eQpXMk/img.jp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M7waQ/btsC1FZAaZb/knkzSWgDpp5B4hiwg45WlK/img.jpg)
▲ 종류별 폐의약품 배출방법
➞ 가루약, 알약(조제약) : 포장 및 밀봉 상태 그대로 배출
➞ 알약(정제형, 캡슐) : 겉포장(종이)만 제거 후 포장된 알약 그대로 배출
➞ 연고 등 특수 용기 : 겉포장(종이)만 제거 후 마개를 잠그고 용기 그대로 배출
➞ 물약 : 용기 그대로 마개를 잠그고 비닐봉지 등으로 이중포장 후 배출
※ 물약은 우체통에 배출할 수 없으니 폐의약품 수거함을 이용 바랍니다.
#폐의약품분리배출 #폐의약품 #우체통 #폐의약품우체통 #주민센터폐의약품수거함 #폐의약품수거함 #폐의약품회수봉투 #배출요령 #분리배출 #환경오염 #생태계오염 #가루약 #알약 #물약 #연고 #시럽 #우체통배출방법 #수거함배출방법 #24시간분리배출 #24시간폐의약품분리배출 #유해폐기물
'라이프 > 일상다반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화염 토네이도 - 호주에서 발견된 영상 (0) | 2024.06.11 |
---|---|
2024년 대만 강진 (0) | 2024.04.03 |
돼지 불고기 vs 돼지 두루치기 vs 제육볶음 구분할 수 있어요? (0) | 2023.09.20 |
자동차키가 없을 때 문여는 방법 (0) | 2023.08.23 |
신비로운 구름..문과적으로 감상하기 (0) | 2023.07.25 |
댓글